본문 바로가기
그룹명/카메라

[스크랩] 다중노출로 촬영해 보자!!!

by 풍뢰(류재열) 2007. 7. 19.

자료출처--http://semtle.kumoh.ac.kr/~icemaster/

★ 다중노출 촬영


1. 다중노출이란?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보면 위와 같이 달 또는 태양이 여러번 찍혀 있는
    사진을 쉽게 접할 수 있을겁니다.
    개기일식 사진이라던가 개기월식 사진등... 일정한 간격으로 찍혀 있는
    사진들 보셨죠? 이런건 어떻게 찍은것일까요? 네~ 바로 다중 노출이라는
    기법으로 촬영을 한겁니다. "다중 노출" 말 그대로 필름 한장에 여러번
    노출을 한다는것이죠. 시간차를 두어 촬영을 하는것이죠 ^^
    또는 한컷을 찍고 난 다음 위치를 이동하여 다른 사진을 찍기도 하죠.
    암튼 이런것을 다중 노출이라고 합니다. ^^
    천체사진에서는 특히 월식, 일식때 상당히 유용한 촬영법이죠 ^^
    그럼 이제 촬영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당~
    2. 다중노출 방법
    다중노출 촬영 방법을 지원하는 카메라도 있지만 대부분의 수동카메라들
    은 지원되지 않죠 ^^; 제가 알기로는 다중노출 촬영이 지원되는 수동카메
    라는 Nikon FM2 뿐이군요.
    하지만 다중노출 촬영이 지원되지 않는 카메라도 다중노출 촬영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답니다. 2가지 방법이 있죠!
    1. 필름을 감기전에 바디의 아래쪽에 작은 버튼을 눌러야 하죠? 이 버튼
    과 필름 리와인딩 크랭크(필름감는거)를 이용하여 다중노출 촬영이 가능
    합니다. 우선 리와인딩 크랭크를 필름 감는 방향으로 살살 돌려 필름이
    팽팽하게 펴 지도록 만듭니다. 그리고 테이프로 리와인딩 크랭크를 단단
    히 고정을 시킵니다. 다음은 필름을 감기전에 누르는 작은 버튼을 누릅
    니다. (이 버튼을 누르지도 않고 다중노출 촬영을 할려다간 필름 맛갑니
    다 -_-;;)
    이렇게 한 후 셔터를 장전하면 필름이 감기지 않게 되죠. 필름 리와인딩
    크랭크를 제대로 고정시키지 않았다면 다중노출을 할때 상이 약간 어긋
    날 수도 있다는것을 유의하시구요. 필름 감기전에 누르는 버튼은 셔터를
    누르고 나면 다시 튀어 나오도록 되어 있으니 다음 컷을 촬영하기전에 꼭
    눌려 있나 확인을 하셔야 됩니다.
    이 방법은 정확한 노출이 가능하다는것이 장점입니다. 1초보다 빠른 노출
    을 요구할 경우 (일식이 보통 노출시간이 상당히 짧죠) 이 방법으로 정확
    하게 노출을 할 수 있죠. 상이 어긋나지 않도록 유의를 해야 하긴 하지만
    요.
    2. 두번째 방법은 1초이상의 노출로 다중노출을 할때 유용한 방법이랍니다.
    가장 간단하고 가장 쉬운방법이죠. 촬영을 시작하여 우선 원하는 노출을 준
    후 렌즈를 렌즈캡 또는 두꺼운 검은천 등으로 가립니다. 그리고 일정 시간
    이 흐른 후 가려두었던것을 치우고 다음 컷을 노출시킵니다. 그리고 또 렌
    즈를 가렸다가 다시 치워서 또 찍고 하는 방법이죠.
    저는 주로 렌즈캡을 이용하여 노출을 한답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이면서도
    또 신뢰가 가능 방법이죠. 하지만 렌즈를 가릴때 삼각대를 건드리지 않게
    조심을 해야 합니다.
    이제 다중노출의 방법을 알았으니 촬영을 해 봐야겠죠? ^^
    3. 다중노출 촬영을 해 보자!

    위의 2002년 1월달에 있었던 토성식때 촬영한 것입니다.
    달 왼쪽의 별은 알데바란입죠. 토성이 달 옆에 조그맣게 붙어 있는데 조리
    개에 의한 크로스효과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답니다. 실패작인 셈이죠.
    1월달에 있었던 토성식은 월몰형 토성식으로 이 사진을 촬영하기전엔 달이
    위에 높이 떠 있었죠. 그리고 시간이 흘러 점점 지평선으로 다가가는 그런
    월몰형 토성식이었죠.
    전 다중노출을 위해 렌즈를 렌즈캡으로 가리는 방법을 이용했답니다.
    구도를 잡고 몇분 간격으로 촬영할 것인지등 모든 준비가 끝났다면 이제 촬
    영에 임해 봅시다.
    한컷당 노출은 f/16, 15초
    한컷당 시간간격은 10분 으로 정하고 촬영하기로 했습니다.
    언제 건물뒤로 내려가는지는 예측을 하지 못해 일단 되는데로 촬영을 하기로 했죠.
    총 7컷을 촬영하게 되었답니다.
    셔터 B, 조리개 16에 맞춰놓고 셔터를 눌렀습니다.
    15초 노출후 렌즈캡으로 렌즈를 막았죠. 그리곤 현재 시각을 기억해 둡니다.
    10분 뒤.. 렌즈캡을 열고 다시 15초동안 노출을 합니다. 다시 렌즈를 막고
    시간을 기억하고.... 이러기를 7번... 해서 위의 사진이 만들어 진것이죠.
    15초씩 7번. 총 105초동안 노출을 한 셈이죠. 거의 적정노출에 맞게 찍은것이죠.
    다중노출 촬영을 할 때 주의할것은 총 노출시간을 정확히 맞춰야 한다는것입니다.
    예를 들어 f/4 30분이 정확한 노출시간이라면, 만약 10컷을 다중노출할 경우에는
    한컷당 노출을 f/4 3분으로 해야 한다는겁니다. 그렇지 않고 실수를 할 경우 결과
    물이 약간 이상하게 나오겠죠 -_-; 또 한가지 시간간격을 계획적으로 잘 맞춰야
    한다는것 입니다. 일정한 간격으로 촬영하던가 아니면 일정비율로 시간간격을 늘려
    촬영을 하던가 하여 실수없이 촬영을 해야 합니다. 만약 촬영중에 한번이라도 실수
    를 하게 되면 공들였던 사진 한장이 그냥 날라가게 되는것이니까요 ^^;
    그러니 계획을 잘 세워 실수없이 찍도록 해야 합니다.
    참고로 아래 사진도 다중노출로 찍은것이랍니다.
    한번 연구해 보세요 ^^;



    자~ 이것으로 끝냅니다~ ^^
    사진 출처 : 빛과 시간의 미학(필자의 홈페이지..-_-;;)
            - http://semtle.kumoh.ac.kr/~icemaster
    글 : 세페◈
출처 : 포토N
글쓴이 : 해피~ 원글보기
메모 :